홈으로 독도소개 독도관련자료 독도사랑운동 자유게시판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방명록

우리땅독도 독도의병대 독도사랑운동 언론자료 커뮤니티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독도사랑운동
독도지키기 200만인
독도사랑운동
대마도 찾기 운동
독도의용수비대를 훼손하는 김점구의 정체와 배후?

투표테스트
 
 
 
 

 
손님 (85.♡.96.200)  
손님 (207.♡.13.127)  
손님 (34.♡.45.47)  
손님 (185.♡.171.7)  
손님 (18.♡.238.178)  
손님 (66.♡.79.234)  
손님 (35.♡.125.172)  
손님 (85.♡.96.211)  
손님 (44.♡.102.198)  
손님 (185.♡.171.12)  
손님 (44.♡.116.149)  
손님 (54.♡.163.42)  
손님 (18.♡.102.186)  
손님 (185.♡.171.2)  
손님 (54.♡.114.76)  
손님 (110.♡.107.194)  
손님 (34.♡.249.188)  
손님 (54.♡.240.58)  
손님 (107.♡.181.148)  
손님 (34.♡.87.80)  
손님 (18.♡.137.234)  
손님 (52.♡.71.8)  
손님 (3.♡.104.67)  
손님 (85.♡.96.202)  
손님 (185.♡.171.10)  
손님 (98.♡.177.42)  
 접속자 26명, 회원 0명, 비회원 26명

510
2,101
7,742
4,062,927

작성일 : 08-11-06 00:47
김점구가 돌리는 글
 글쓴이 : 독도의병대
조회 : 5,309  
안녕하세요
독도수호대 대표 김점구입니다

대한제국 칙령 제정일을 국가 기념일인 독도의 날로 제정하자는 독도수호대의 주장을
"제 1회 독도의 날로 제정하여 대한제국칙령의 역사를 폐기하는 것"
"무주지 선점을 주장하는 일본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것과 같다"라고 왜곡하는 독도의병대의 주장은
사실과 다름을 재차 밝힙니다.

독도의병대 독도의 날 관련 서명 요구사항 일방적으로 수정

독도의병대는 독도의 날 제정 취지를 왜곡하면서 "청원철회" "독도의 날 제정을 반대"를 명시한 서명운동을 하면서 동의했다고 하는 수백명의 인명을 홈페이지 게시판에 게시하였습니다.

그러나 제가 확인해 본 여러분 (교수, 공공기관장등)은 독도의병대로부터 전해들은 것이 사실과 다르고 독도수호대의 제정취지가 옳다며 서명철회의사를 밝혔습니다.

다음은 모 교수님께서 제 보내신 서명철회요청에 대한 회신입니다.(2008년 11월 3일)

다음과 같이 철회를 요청했습니다. 본의가 아니게 이용된 것 같아 미안합니다.

처음설명으로는 10월 25일을 독도의 날로 정하는 문제가 아니라 대한제국 칙령 41호가 반포된 날을 독도의 날 1회로 하자는 것인줄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설명과는 달리 서명을 이상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이미 서명을 했지만 그 의사를 철회하고자 합니다.

대학의 연구소는 연구에만 전념해야하는 사정도 있습니다.

앞으로 저는 서명을 철회하였으니 더 이상 제 이름을 용하시지 말것을 요청합니다.

독도의병대는 서명자의 철회요청이 시작되자 서명요구사항 3개항 가운데 문제가 된 '청원 철회'등을 삭제하고
다른 내용으로 변경하여 게시하였습니다.

서명내용을 변경했다는 것은 서명자에게 서명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않았다는 증거이며
서명자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서명요구사항을 변경한 것은 서명자의 서명의지와 반하는 것입니다.

또 독도의 날에 대한 서명요구사항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입니다.


수정전 서명 요구사항(독도의병대 공지사항 2008년 10월 12일 등록)
독도칙령선포 제 109회(108주년), 독도날 기념 1차 동의자 명단

1. 4년 동안 0.6%로 안되는 서명결과로 국회에 청원한 제 1회 독도의 날 제정 청원 철회를 요청합니다.
2. 95% 독도관련 전문 교수 전국의 독도단체가 모르고 일본이 좋아할 독도의 날 제정을 반대합니다.
3. 고종황제 독도칙령 선포 109회 (108주년)독도날 기념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수정후 서명 요구사항 (독도의병대 공지사항 2008년 11월 3일 수정)
독도칙령선포 108주년 (109회), 독도날 기념 1차 동의자 명단
1. 일본은 독도주권을 침해하지 말고 역사를 왜곡하지 말라
  1905년 시마네현 관보에 게시한 무주지 선점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4년 자칭 다께시마날을 다시 만든 일련의 독도침략을 중단하라.

2. 고종황제가 만드신 독도의 날 108주년(109회)를 이어가자
고종황제께서 1900년 10월 25일에 울릉도, 독도칙령을 전 세계에 선포하신 독도의 날 역사성을 그대로 이어가고 강화하는데 동의한다.

3. 1년동안 공감대 형성 후 기념일을 공휴일로 제정하자!
관계기관 및 한민족의 중지를 모으고 공청회를 거쳐, 2009년 10월 25일까지 1년동안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한 후 독도의 날 기념일을 공휴일로 만들고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지속적으로 세계인들에게 알리며 독도를 교육하고 한민족의 문화로 심어서 후손에게 물려주는 일에 동의한다

-------------------------------------------------------------------------------------------

독도의병대의 허위주장으로 독도의 날 제정 취지가 왜곡되고 있습니다.
독도의 날이 국가 기념일로 제정될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독도의병대 08-11-11 16:58
 
일본은 고종황제가 1900년도에 독도칙령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1905년도에 무주지 선점 운운하면서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했습니다.

독도는 대한민국 국내만의 문제가 아닌
일본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빼앗으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단 한번의 실수도 용납될 수가 없습니다.


김점구의 말대로 국회에서 독도의 날이 만들어지면
우리가 아무리 1회가 아니라고 해도
세계인을 속여서 80% 이상의 지도에 다께시마로 만든 일본인들은
일본의 자칭 다께시마 날보다 4년 늦게 만들어진 독도날이라고 선전할 것이고
세계인들은 그렇게 오해하지 않겠습니까?


일본의 무주지 선점 주장이 옳다고 혼자 오해하는 전세계 외국인들에게
일일이 찾아가서 그렇지 않다고 설명하러 다닐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


고종황제가 칙령을 제정하신 그 날을 독도날로 기념하면 일본이 부러워 할텐데
이것을 폐기하고 다시 독도날을 만드는 것은
숭례문을 태우고 천막치는 것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아무리 국회에서 108주년 독도날을 만들겠다고 주장해도
이것은 스스로 일본의 덫에 걸려드는 행위일 뿐입니다.




독도수호대 김점구는 동의서 내용에서 철회하라는 내용을 뺐다면서 내용을 바꾸었다고
글을 써 돌리고 있는데 이것은 전혀 사실과 다릅니다.




독도의병대에서 각 기관에 보낸 동의서 내용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같은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10월 25일이 지났으니 108주년이 109주년으로 바뀐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청원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처음부터 첨부한 안내 내용에
동의서와 함께 이미 전달된 내용이며
다만 홈페이지에 올릴 때 알아보기 쉽게 줄여서 동의서 앞에 올렸을 뿐입니다




다만 첨부물 내용 안내를 동의서 내용과 혼돈하는 사람이 있는것 같아서
알아보기 쉽게 원래 했던 동의서 내용으로 바꾸었고
0.6%도 안되는 서명으로 잘못 청원한 것은 철회해야 한다는 안내한 내용은
지금도 독도의병대 홈페이지에서 그대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


독도칙령선포 제 108주년(109회)



독도 날 기념 1차 동의자 명단



1. 일본은 독도주권을 침해하지 말고 역사를 왜곡하지 말라.




1905년 시마네현 관보에 게시한 무주지 선점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2004년 자칭 다게시마 날을 다시 만든 일련의 독도침략을 중단하라.







2. 고종황제가 만드신 독도의 날 108주년(109회)를 이어가자







고종황제께서 1900년 10월 25일에 울릉도, 독도칙령을 전 세계에 선포하신 독도의날 역사성을 그대로 이어가고 강화하는데 동의한다




3. 1년동안 공감대 형성 후 기념일을 공휴일로 제정하자!







관계기관 및 한민족의 중지를 모으고 공청회를 거쳐

2009년 10월 25일까지 1년 동안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한 후

독도의 날 기념일을 공휴일로 만들고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지속적으로 세계인들에게 알리며

독도를 교육하고 한민족의 문화로 심어서

후손에게 물려주는 일에 동의한다.




*****************************************************




신용하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 이상면 (서울대학교 법학과 교수) / 김영구 (려해연구소장, 전해양대학교 교수) / 박춘호 (국제해양법재판관) / 이상태 (국제문화대학원 교수) / 이장희 (외국어대학교 총장) / 권오엽 (충남대학교 교수) / 이범관 (경일대학교 교수 독도간도교육센터) / 박종효 (모스크바대학 객원 교수) / 방석종 (감리교신학대학교 명예교수) / 김병렬 (국방대학교 교수) / 방길남 (한국 항공대학교 교수) / 황정환 (경주대학교교수, 독도울릉학연구소장) / 최장근 (대구대학교 교수) / 임덕순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 정기한 (김천대학 교수) / 김종록 (한동대학교 교수) / 이재회 (고신대학교 교수) / 김정수 (경남정보대학교수) / 최재영, 임원현, 조현호, 유영준, 구본기, 김기태, 조용기, 이태균, 김규호, 최현탁, 최영석, 조무호, 황재호, 권수근, 이혜길, 김재원, 이준희, 김종주, 배해룡, 심형섭, 윤상철, 최무현, 최인환, 김윤칠, 이승엽, 임길택, 추근도, 이준한, 정영철, 이경호, 현덕환, 김선필, 권경택, 조성원, 윤상환, 정기억, 박진한, 최유진, 이해일, 박현준 (경주대학교 교수) / 정이근, 박흥모, 정세진 (영산대학교 교수) / 헬렌신 (미국 오티스대 교수) / 정영수 (장로회 국제연합신학교) / 이용우 (연변미학 기술대학) / 홍 벤자민 (헤이필드대학) / Rache (싸우스벨 한의대) / 고무환 (우송대학교 교수) / 이재윤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 최승희  (우석대학교 교수)







이예균 (푸른울릉도독도가꾸기모임 상임고문) / 이종호 (사운 이종학 유족회 대표 & 독도NGO고문) / 나홍주 (독도NGO포럼 회장) / 안용식 (독도 NGO 포럼 상임의장 & ㈜ 한국아트랜드 대표) / 김광용 (전국어민연합회 전 집행위원장) / 김봉우 (독도역사찾기운동본부장) / 안형배 (안용복기념사업회 회장) / 한송본 (발명계 독도개발 운동본부장) / 최재익 (독도수호전국연대의장) / 최병천 (전국지리교사연합회장) / 조대용 (재경독도향우회장) / 이상훈 (독도사수대 대표) / 박순종 (코리아독도녹색운동연합 대표) / 엄정일 (독도조사연구학회 회장) / 유하영 (독도조사연구학회 전 회장) / 조윤상 (독도미래희망포럼 대표) / 김문숙 (독도를사랑하는민족운동본부 대표) / 김방수 (대구은행 사이버독도지점장) / 천숙녀 (독도시인) / 강운택 (독도서각가) / 우명주 (독도사랑문학회장) / 김기종 (우리마당 독도지킴이 대표) / 김용성 (전 싸이월드 독도사랑지킴이팀장) / 서성수 (햄 독도사랑회장) / 윤국진 (경주대학교 독도울릉학 연구원) / 조준기 (독도주민2호) / 박영춘 (독도의병대 부산지부장) / 주정수 (미주 독도사랑회장) / 정진원, 박정배, 윤난향 (미주 독도사랑회원) / 변진호, 김미영, 김종화, 김효범, 송미옥, 강영철, 김종국, 이용수, 하시현, 이기영, 윤철수, 변진호, 김미영, 김종화, 김효범, 송미옥, 김봉영, 박경훈, 최명기, 유영찬, 성동석 (창원경일여자고등학교 교사 독도지킴이팀) / 반선화, 신오철, 정대윤, 김소년, 강병철, 장철원, 최규남, 최병윤 (창원경일고등학교 독도지킴이팀) / 이은실 (독도사관) /







김은섭 교육과학기술원장 / 우석구 (봉화교육청교육장) / 김홍섭 성동교육청 교육장 / 김태수 서부교육청 학무국장 / 이정호 서울시평생교육국장 / 이준순 여의도 여자고등학교장 / 원순자 산남중학교장 / 안병기 정읍동신 초등학교장 / 이 인기 전주 용덕초등학교장 / 김헌암 동작교육청 시설과장 / 한명식 거창대성중학교장 / 김용석 이리 마한초등학교장 / 이정순 산북중학교장 / 강원춘 경기도 교원단체 총연합회장 / 이경희 서울영림초등학교장 / 서종호 경주 화랑고등학교장 / 이명희 경기 성은학교장 / 홍진복 서울신사초등학교장 / 조근현 안양여자중학교장 김영환 전라북도교육청 시설과장 / 이근택 용연초등학교장  / 오금향 범원여자중학교장 / 강석주 토평고등학교장 / 조항규 재원중학교장 / 정연택 약대초등학교장 /  유종희 전주영상미디어고교장 / 정제호 음암중학교장 / 임광수  잠실고등학교장 / 최길주 팔복초등학교장 / 서주원 (대신중학교 교사) / 정천우 (부산 문현초등학교장) / 신동금 (부산 문현중학교장) / 김성수 (송탄고등학교교감) / 박수범, 범호업, 안은정, 안범현, 황규택, 박병호, 이지향, 조선경 (송탄고교 교사)외 180명







강대덕 (독립기념관) / 김호기 (경상북도 독도수호대책팀) / 홍건표 (부천시장) / 김휘동 (안동시장) / 김충용 (종로구청장) / 남홍우 (부산남구 문현1동장) / 이철형 (문헌1동 새마을금고 이사장) / 채수경 (남부경찰서문현지구대장) / 주정수 (부산남구 문현3동장)







박인주 (흥사단 이사장 & 평생교육진흥원장) / 이재신 (이순신장군후손회장) / 구금자 (김제의 열사 유족회 대표) / 이휘남 (윤봉길의사 기념사업회 이사)  / 정일기 (환경과 복지를 생각하는 시민의 모임) / 박인호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대표) / 류기주 (성균관) / 최병규 (연극배우) / 양주 (동아시아 갈등해결 국제연대) / 이종립 ((사)통일전국민족회 연구소장) / 박준순, 장세덕 (삼락회) / 김전식 (보람연구원) / 이준철 (한동대 총학생회장:제13대총학생회 유쾌한동행) / 최우창 (마루이벤트 대표) / 권용희 (대구비룡라이온스클럽) / 박병규 (블루오션'문화봉사대 단장) / 최종환 (6.25국구유공자회) / 임만택 (비엔이티 대표) / 이광호 (예술의 촌나라) / 이새롭 (정토회) / 고미화 (재향군인여성회) / 박응구 (화문제연구소) / 조재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민석기 (정몽헌회장추모회) / 김만식 (평화통일시민연대) / 박용일 (대한변호사협회) / 양희철 (한국해양연구원) / 조순아 (신생 윤리 연구 모윤회 회장) / 이상원 (국기사랑회 회장) / 조창용 (부산장애인총연합회장) / 성현숙 (부산주부클럽사무국장) / 김외금 (대한주부클럽이사) / 김만율 (부산노인대학협의회 회장) / 윤동수 (부산시경제정착과 유통소비팀장) / 이선동 (한국 소비자원 이선동 차장) / 송종호 ((사)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부산본부장) / 이종철 ((사)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부산본부고문) / 오장수 ((사)삼일동지회사무총장) / 박인식 ((사)삼일동지회이사) / 안석제 (삼일동지회) / 김용희 (사단법인 박정희대통령과육영수여사숭모회부산울산경남지회회장) / 김광식 (충렬사관리사무소서무담당) / 김문복 (미진교통노동조합위원장) / 노일화 (광복회부산지부장) / 오만숙 (한국 음식업 중앙회부산시북구지부장) / 최봉한 (공정의과) / 이병만 ((사)동북아우의연맹) / 김태련 (아이코리아 회장) / 박광철 (아이코리아 사무총장) / 방기훈 (육영닷컴) / 최웅석 (아이코리아 행정지원팀) / 채원석 (영어교육원) / 김정자 (영여연구원) / 정문숙 (건강가정지원센터) / 조득행 (생활교육원) / 김승환 (주 대우건설) / 하양승 (아이코리아 연수원) / 손세란 외87명 (아이코리아 연구파트) / 박재순 (서도소리이수자) / 김진원 (남부카센터) / 조정희 ((시)부산여성ngo연합회) / 신상훈 (국노총전의장) / 김남구 (숭실대학교) / 이근후 (부산광역시 관광협회장) /  김종민 (흥사단 북부분회) / 유희봉 (흥사단 예술문화분회) / 곽경현, 이윤배, 반재철, 이만근, 김갑재,임채숭, 옥영수, 황평주, 나명숙, 양태욱, 방세훈, 남무호, 박용란, 우재도, 장준석, 장동현, 김희언, 이갑준, 김희언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이재선, (6.25참전자회 구미지회)/ 김주환 (6.25참전자회 선산지회)/우상진 합플러스 (주) 대표/ 이 상용 (주) 플러스창호 대표

강대양 (사)정읍청소년복지후원회장 / 곽영호 건강한 학교 만들기 본부 연수원장 / 양기용 실용정책연대 사무국장 / 김석희 (주) 조은여행사회장 / 박인옥 공존사회를 모색하는 지식인 모임  공동대표 / 수성 불국사주지 / 이창헌 건인체육관장 / 남상오 대구체신노조위원장 / 이 광수 전 교육장 / 신종호 협우회장 / 최경태 동대구 철도위원장 /

양재원 (주) 한융금속 / 김주록 대구시노동조정 전 위원장 / 안상모 공인노무사 / 권종화 부산시 재향군인회 회장







권흥원, 고의협, 김하숙 (인천) / 최영란 (서울) / 채규강 (경기) / 이원이 (강원) / 김금노 (충남) /







수성 불국사 주지 / 이진국, 방개현, 김종은 (논현동 성당) / 박희선 (개포동 성당) / 문해선, 허민, 백정엽 (삼성동 성당) / 유삼명, 김춘만, 김영진, 채경화, 김재호, 김문숙, 최진욱, 최진수, 신동인 (고아동산교회) / 문순예, 심복선, (독도교회) / 김은자 (안식일교회 미주절제협회) / 전경수 (BMW선교회) / 김진균 (백투에덴교회) / 김영모 (벨리교회 목사) / 김정길 (가든그로브 교회) / 지의섭 (토랜스교회) / 홍만희 (SDA교회목사) / 김기웅, 김정현, 조재경, 최은선, 박귀제, 박신관, 김명숙, 박영기, 팽난희, 최통련, 김창겸, 박지관, 한대국, 김혜성, 최빛나, 안상완, 정보현, 조서경, 최빛나, 남동우, 정혜옥, 이선화, 조기태, 이문승, 윤길숙 (토랜스 사랑의메아라교회) / Venus Im (코로나교회) / 김중훈 (LA교회 목사) / 조 훈 (베이커스 필드교회) /







남문기 (뉴스타그룹 회장 (전 한인회장) / 권용섭 (미주 한인미술협회장) / 제니남 (뉴스타그룹사장) / 정광석 (미주 한인 영화인협회장) / 김준배 (미주 예총회장) / 유지애 (시인협회장) / 이강원 (박대통령추모사업회미주본부) / 이수복 (한미참전 동지회 미주본부) / 정상덕, 이금희 (Prospect) / 차종환 (미주 민주평통 회장) / 이태형 (미주 한인 보험 재정협회) / 정호영 (GG부 시장(시의원)) / 정병호 (빅토빌 전 한인회장) / 최영석 (미주 애국행동본부) 







여영난 (미주한인미술협회, 뉴스타월드 편집장) / 김원달, 황은식, 이정희, 김진철, 조난희, 정차원, 제니박, 김두옥, 티나한, 전순희, 김윤자, 신동길, 김혜영, 이명선, 전혜영, 김도형, 윤장균, 박소영, Cha Sopia, Jeong Hee Lee, Dae Woo Lee, Jeong Hee Lee, Sun Hyang Shin (미주한인 미술협회) / 조정자, 김선자, 안미희, 공글라라, 양현주, Joy Noh, 모건 김, 유진희, 조이김, 김선희, 안미지, 김선옥, 유미화, 김경희, 장정진, 안젤라오 (뉴스타 문화공간) / 유석봉, 변윤희, 조호천, 이열모, 백은경, 헤당 최귀향 (미주 화가) / 티나조 (미주서예인) / 그레이스장 (미주 공예가) / 이홍집 (미주 피카소미술) / 이난영 (미주 사진가) /







김명균 (LA 크리스천 헤랄드) / Esther.G park (크리스천 헤랄드) / 임헌홍 (웰빙 플러스 신문 편집국장) / 김태민 (뉴스타 미디어) / Yikgu Lim (KBS World) / 변홍진 (센데이뉴스) / 임성혁 (방송인) /







정성식 (미주베델농장) / 신은규 (Alcatel-Lucent) / 정은주 (Julia Inc) / 신성현 (캘리포니아  빅토빌 벧엘농원) / 남봉규 (미주고려병원장) / 김 영 (미주사진작가) / 남지경 (미주변호사) / 이계종 (미주회계사) / 남보경 (주부) / 권영철 (미주격투기세계챔피온) / 고영규 (헐리웃 영화산업) / 이하성 (미주의사) / Francis S.Lee (Korea Cultural Center) / Paige Lee (Genesis) / Matthew Kim (Key Media) / ln Seak Chang (Koryo Wlnery Co) / 변영길 (LA 한인 축제재단) / Thomas Jshin (GLAMI USA CORP) / 권희용 (미주간호사) / 토마스김 (뉴스타 부동산) / 문재룡, 은희문 (미주수의사) / 정주락 (식당업) / 나윤자 (한국떡집) / 데보라 (주부) / 김현경 (부동산업 ) / 안잴라 (주부) / 박지호 (회사원) / 황수미 (회사원) / 코코경아 (헐리웃 영화인) / 김태진 (인테리어 벽화) / 에스더구 (사업가) / 피코 (인쇄업) / 제이유 (식당용품) / 제시카 (홈데코) / 김연한 (약사) / 챨스박 (의상 디자이너) / 수잔 (센프란시스코) / 김욱진 (사진작가) / 제니강 (팔레스버디스) / 이춘희 (뉴스타월드) / 오셀 (웹 이이러브독도) / 박혜경 (로마린다) / Shine Kih (LA미장원) / 조득근 (페루 리마(동곡후원회장)) / 홍성남 (의상디자이너) / 양일권 (백투에덴  방송강사) / 이미숙 (건강요리사) / 문대원 (토랜스 교정치과) / 김향숙 (탐스프링 온천) / 나미희 (올림픽 간호사) / 유미순 (센프란시스코) / 대광 김 (액자업) / 수잔 김, 한결 오명력, 이연자, 조동엽, 박민규, 박미경, 한대우, 한명우, 박노성, 문승환, 오필동, 이명애, 표정수, 홍수정, 루시오, 조인경, 함수민, 토니 리, 김진희, Judy kim, Jourg  chi, Young sook chon / 







권청실 (산타모니카 학생) / 권진실 (사우스 하이 학생) / 변나영 (토랜스 학생) / Jae in ju, 김찬선, 김지수, 은비, 현준 (학생) / xl khp pyo, Johann A, Soon .H Lee (노인학교) /







최명지 (중국 연길 만수대 민속 예술원)



**********************************************


1. 4년 동안 0.6%로 안되는 서명결과로 국회에 청원한 제 1회 독도의 날 제정 청원 철회를 요청합니다.
2. 95% 독도관련 전문 교수 전국의 독도단체가 모르고 일본이 좋아할 독도의 날 제정을 반대합니다.
3. 고종황제 독도칙령 선포 109회 (108주년)독도날 기념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전화번호: 055-635-8846, 전송: 055-635-8845  

   Copyright(c) 2004  www.o-dokdo.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