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독도소개 독도관련자료 독도사랑운동 자유게시판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방명록

우리땅독도 독도의병대 독도사랑운동 언론자료 커뮤니티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독도사랑운동
독도지키기 200만인
독도사랑운동
대마도 찾기 운동
독도의용수비대를 훼손하는 김점구의 정체와 배후?

투표테스트
 
 
 
 

 
손님 (100.♡.63.24)  
손님 (185.♡.171.12)  
손님 (44.♡.116.180)  
손님 (207.♡.13.52)  
손님 (52.♡.237.170)  
손님 (185.♡.171.1)  
손님 (54.♡.80.137)  
손님 (100.♡.44.58)  
손님 (111.♡.241.12)  
손님 (44.♡.187.99)  
손님 (54.♡.12.115)  
손님 (54.♡.84.74)  
손님 (185.♡.171.15)  
손님 (34.♡.226.74)  
손님 (40.♡.167.64)  
손님 (34.♡.185.101)  
손님 (185.♡.171.10)  
손님 (34.♡.233.48)  
손님 (185.♡.171.14)  
 접속자 19명, 회원 0명, 비회원 19명

1,477
2,551
7,742
4,033,410

작성일 : 10-03-22 17:21
연재 1. 홍순칠과 병적기록
 글쓴이 : 독도의병대
조회 : 4,124  
제목 연재 1. 홍순칠과 병적기록

작성자 김점구 등록일 2010-03-09


연재 1. 홍순칠과 병적기록
수기집 <이 땅이 뉘 땅인데>에 수록된 홍순칠의 약력이다.

1929년 1월 23일 출생
1949년 6월 15일 육군독립기갑연대 입대
1952년 7월 20일 전상으로 육군명예제대
1953년 4월 20일 독도의용수비대 창설
1956년 12월 30일 독도방위 업무 국립경찰에 인계
1961년 3월 20일 포항수산 전문대학 경제학과 졸업
1986년 2월 7일 사망\

(군대생활관 관련된 수기, 기사 등은 뒤에 붙입니다)

홍순칠의 수기, 언론기사를 참고하여 병적기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949년 6월 15일에 육군독립기갑연대 입대
- 6,25가 터지자 채병덕 장군 당번병으로 입대
- 북진때 원산전투에서 탱크타고 수색하다 부상
- 1952년 7월 제대 또는 1953년 봄 제대, 전역당시 계급은 상사(특무상사)

군대와 관련해서 몇 가지 의문이 생긴다.

첫째 군입대 및 전역시기의 혼란
둘째 탱크가 없던 시기에 어떻게 ‘탱크 수색 중 부상’이 가능한가?
셋째 특무상사 진급


군입대와 전역

<이 땅이 뉘 땅인데>의 연표와 <진정서>(박영희)에는 ‘1949년 6월 15일 육군독립기갑연대 입대’로 나온다. 그러나 홍순칠과 의형제였다는 김시열(한국 전쟁 전까지 우산중학교 교사 역임) 매일신문 전 편집부국장은 ‘한국전쟁 발발후 채병덕 장군 당번병으로 입대’라고 증언하여 입대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기의 연혁에 나오는 전역일자는 1952년 7월 20일이고 부인인 박영희씨의 진정서에 나오는 1952년 7월 15일과 차이가 있으나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김시열씨의 증언, <이 땅이 뉘 땅인데>의 본문과 <독도에 숨은 사연들>(월간 학부모 연재물) 본문의 “4년만에”를 기준으로 하면 1953년이고, 선데이서울 인터뷰 기사에도 53년 봄으로 되어 있다.

- 입대일자 1949년 6월 15일, 1950년 6월 25일 이후
- 전역일자 1952년 7월 15일 또는 20일, 1953년 봄 또는 7월 15일
필자가 볼때 홍순칠의 전역일은 1952년 7월일 가능성이 높다.
<이 땅이 뉘 땅인데> 197쪽에는 황영문 대원을 만난 경위가 나오는데, 황영문 대원의 전역일자는 1952년 7월 5일이다. 황영문은 강원도 울진(당시 행정구역)출신으로 홍순칠과 같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전역과 함께 홍순칠의 제안으로 울릉도에 정착하였기 때문이다.

홍순칠의 전역일자는 매우 중요하다. 1953년 4월에 독도에 첫 상륙했다는 주장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1953년 4월 이전에 전역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군 독립기갑연대에 입대

1949년 6월 20일, 서울 용산에 제2, 제7 기갑연대를 기간으로 수도경비사령부가 설치되었다. 수색작전을 주로 하는 기갑연대는 수도경비사령부의 예하부대였고, 홍순칠의 수기와 같이 육군독립기간연대는 창설되어 있지 않았다.


채병덕 장군 당번병으로 입대

채병덕 장군 약력
1949. 2. 2 &nbsp;육군소장
1949. 5. 9&nbsp; 제2대 육군총참모장(∼9.30)
1949.10.1&nbsp;&nbsp;명태사건(복어사건)으로 총참모장에서 해임, 예비역 편입
1949.12.15 국방부 병기행정본부장으로 복귀
1950. 4.10&nbsp;제4대 육군총참모장(~6.30)
1950. 6.30 육군총참모장 해임, 영남편성관구사령관 취임
1950. 7.27 하동에서 전사

채병덕 장군의 당번병이었을 경우 원산전투에서 부상을 당할 수 없다.


탱크로 수색중 원산에서 부상

원산전투는 1950년 10월에 있었고, 당시 한국군이 보유한 탱크는 1대도 없었다.&nbsp;
따라서 “탱크로 수색 중 부상”은 성립되지 않는다.


특무상사 전역

먼저 홍순칠의 군 경력을 보자
- 1949년 6월 입대, 1953년 7월 전역일 경우 :&nbsp;4년 1개월
- 1949년 6월 입대, 1952년 7월 전역일 경우 :&nbsp;3년 1개월

- 부상(원산전투, 50년 10월)이전까지 : 1년 4개월 복무
- 한국전쟁 참전기간 : 4개월 미만


다음은 당시 계급체계이다.
이등병, 일등병, 하사, 이등중사, 일등중사, 이등상사, 일등상사, 특무상사, (준위)

다음은 특무상사로 전역하신 분의 군 경력이다.
1948년 .6.27 입대, 입대직후 하사관학교 입교(3개월 교육), 교육후 하사로 임관
하사 임관 직후 태백지구 공비토벌, 하사에서 1계급 특진(이등중사)
1951년 12월 1일 이등상사로 진급
1954년 8월 1일 특무상사로 전역

홍순칠이 하사관 교육을 받지 않았다면 특무상사 진급 가능성은 매우 적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병역관련 정리
필자는&nbsp;독도의용수비대원의 병적증명서와 제대증서를 제공받아 병적기록을 확인하였으나,&nbsp;홍순칠의 병적기록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병적증명서가 아닌 다른 자료를 통해 군경력을 정리하는 것은 어렵다.
병적기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병적증명서 또는 거주표 원본을 확인해야 하는데 가족만이 발행받을 수 있다. 가족의 협조가 이루어질때 최종결론에 이를 수 있다.



다음은 인용자료입니다.

<이 땅이 뉘 땅인데>
6.25가 터졌을때 대가 소속된 기갑연대는 청진까지 진격하였다. 나는 원산에서 심한 부상을 입고 후송되어 지루한 육군병원 생활을 하다가....고향인 울릉도에 4년만에 돌아오게 되었다.... 20쪽

부산 복병산 아래쪽엔 남성여자고등학교가 있었다. 1952년 전쟁통에 이 학교도 징발되어 일부 교실은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쓰고 측후소로 올라가는 길쪽은 육군 839부대가 쓰고 있었다. 이 부대는 일명 ㅂ=ㅇ신 부대라 불렸고 쉽게는 육군원호부대라고도 하였다.....나도 제3육군병원에서 이 부대로 전속되었다. 그 때 내 계급이 특무상사라 그 날 이 부대로 전속되는 30여명의 ㅂ=ㅇ신들 가운데 최계급자인지라 신고와 인솔을 내가 맡았다. 196쪽

<독도의용군수비대>국가유공자 수기공모 당선작
1952년 7월 하순이었다.......나는 북진때 원산에서 중상을 입고 오래 세월 육군 병원에서 가료를 받아오다가 육군원호부대에서 7월 15일자 명예제대되어....177~178쪽


<독도에 숨은 사연들>월간 학부모에 홍순칠 연재
원산부근에서 심한 부상을 입고&nbsp;후송되어 지루한 병원생활을 끝내고 보조 지팡이를 짚고 고향인 울릉도에 4년만에 돌아오게 되었다. 제15호

<전사에 없는 독도의 미니전쟁>1976년 5월 23일, 선데이서울
“제가 원산전투에서 탱크 타고 수색하다가 부상을 당해 53년 봄 상사로 제대한 뒤 울릉도에 돌아갔을 때였습니다....”


<고 홍순칠 독도수비대장을 그리며>2005년 3월 5일, 매일신문, 김시열 전 편집부국장 인터뷰 기사고 홍순칠대장과 의형제를 맺고 교우했던 김시열 전 본사 편집부국장의 기억속에 그들은 아직 열혈청년으로 남아 있다...... 1950년 6.25가 터지자 나는 카투사로, 홍순칠은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채병덕 장군의 당번병으로 입대했다. 1953년 홍순칠은 상이군인으로 제대한 직후....


<진정서>1996년, 박영희 작성&nbsp; 수신자:대통령
고 홍순칠은 1949년 6월 15일 국군독립기갑연대에 입대. 종군 중 원산 전투에서 전신화상의 중상을 입고 육군병원에서 가료. 1952년 7월 15일 상이명예제대(계급 상사)하여 요양하던중...


<진정서>1986년 3월, 박영희 작성
고 홍순칠씨는 1949년 6월 15일 국군독립기갑연대에 입대 후 6.25사변중 원산전투에서 왼쪽하지, 상반신,&nbsp; 부위의 중상으로 육군병원에서 오랫동안 가료를 받아오다 1952년 7월 15일 명예 제대후(최종계급 : 상사)...

김점구&nbsp; 2010-03-10 18:37:42&nbsp;
독도수호대 대표, 독도의용수비대동지회 사무차장, 독도의용수비대유족회의 실무를 맡고있습니다. 2004년 9월, 홍순칠의 부인 박영희씨의 추천과 동지회 의결로 사무차장이 되었습니다. 다음부터는 실명으로 의견을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nbsp;          2010-03-10 11:03:38&nbsp;
잘읽었 습니다.앞서 기획(연재)의도는 잘알겠습니다.그럼 김점구씨에 대한 인물실체도 자세하게 소개하여 주었으면 합니다.

 
   
 

 

 

   전화번호: 055-635-8846, 전송: 055-635-8845  

   Copyright(c) 2004  www.o-dokdo.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