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독도소개 독도관련자료 독도사랑운동 자유게시판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방명록

우리땅독도 독도의병대 독도사랑운동 언론자료 커뮤니티 독도사랑작품공모전

 

독도사랑운동
독도지키기 200만인
독도사랑운동
대마도 찾기 운동
독도의용수비대를 훼손하는 김점구의 정체와 배후?

투표테스트
 
 
 
 

 
손님 (44.♡.255.167)  
손님 (185.♡.171.14)  
손님 (3.♡.86.97)  
손님 (40.♡.167.7)  
손님 (100.♡.133.214)  
손님 (185.♡.171.5)  
손님 (217.♡.194.229)  
손님 (184.♡.239.35)  
손님 (85.♡.96.197)  
손님 (185.♡.171.19)  
손님 (52.♡.5.24)  
손님 (66.♡.68.131)  
손님 (3.♡.45.252)  
손님 (52.♡.152.231)  
손님 (217.♡.194.225)  
손님 (52.♡.148.203)  
손님 (185.♡.171.16)  
손님 (52.♡.33.248)  
손님 (207.♡.13.126)  
손님 (185.♡.171.2)  
손님 (44.♡.105.234)  
손님 (185.♡.171.7)  
손님 (34.♡.88.37)  
손님 (66.♡.68.133)  
손님 (217.♡.194.222)  
손님 (51.♡.253.12)  
손님 (3.♡.70.171)  
손님 (85.♡.96.207)  
손님 (44.♡.115.10)  
손님 (44.♡.204.255)  
손님 (85.♡.96.204)  
손님 (185.♡.171.3)  
손님 (52.♡.6.26)  
손님 (185.♡.171.4)  
 접속자 34명, 회원 0명, 비회원 34명

2,277
2,441
7,742
4,039,084

작성일 : 10-12-11 22:49
김점구가 울릉군홈페이지에 올린글-푸른울릉독도가꾸기 이예균 고문님께 공개질의-섬의 조건 사람,나무,물
 글쓴이 : 독도의병대
조회 : 4,873  
제목
푸른울릉독도가꾸기 이예균 고문님께 공개질의-섬의 조건 사람,나무,물
작성자
김점구
등록일
2010-12-10
첨부

푸른울릉독도가꾸기 이예균 상임고문님께!

안녕하십니까?
독도수호대 대표 김점구입니다.
2004년부터 독도의용수비대 생존대원과 유족으로 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동지회 사무차장으로 임명되어 어르신들의 뒷바라지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울릉도 방문길에 공개토론을 하자고 제안을 했었는데, 미처 확인을 못하셨는지 답변이 없어 그냥 돌아왔습니다.

이예균 고문님은 오랫동안 독도운동을 해오셨고, 푸른울릉독도가꾸기모임도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 이예균 고문님은 독도전문가이시고, 울릉도에서 독도해설사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이예균 고문님의 경력이 출중하여 많은 사람들은 이예균 고문님의 말 한마디 한마디를 금과옥조로 삼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울릉군이 전국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독도아카데미'에 강사로 초대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예균 고문님을 직접뵌 적이 있고, 글을 통해서도 뵙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예균 고문님의 주장 일부에 심각한 오류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곳에서 공개 질문을 하는 이유는 이번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게 퍼져있고,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틀렸을 수도 있다는 전제로 공개토론을 제안하며, 만약 저의 생각이 틀렸다면 좋은 가르침의 기회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저뿐 아니라 이곳을 찾는 많은 네티즌도 학습의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저의 주장인데, 토론을 위한 발제로 봐주시기 바랍니다.

-------------------------------------------------
저도 가끔씩 독도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는데, 주요 질문 가운데 하나가 "독도가 섬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 '나무' '물'이 있어야 한다"를 전제로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를 묻는 것이었습니다.

어디서 이런 이야기가 시작되었을까 자료를 찾아보니
독도에 나무심기 운동을 했던(하고 있는) 독도사랑회와 푸른울릉독도가꾸기모임에서 자주 언급하더군요.

이예균 고문님의 기사가 자주 보이는데 다음은 1996년 4월 23일 동아일보 인터뷰기사 가운데 일부 입니다.

제목 : 독도는 우리땅 보여주려 9년째 식목-푸른독도가꾸기 모임 이예균 회장
내용 : ".....독도는 유엔협약 121조에 의거한 섬으로 인정받을 만한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나무도 있고 물도 나고 사람도 있고....."

'유엔협약 121조'라고 하셨는데, 국제법의 'ㄱ'자도 모르는 제가 볼때 '유엔해양법협약 121조'를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다음은 <유엔해양법협약 121조 - 섬제도> 입니다.
 1. 섬이라 함은 바닷물로 둘러싸여 있으며, 밀물일때에도 수면에 있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지역을 말한다.
 2. 제3항에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섬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경제수역 및 대륙붕은 다른 영토에 적용가능한 이 협약의 규정에 따라 결정한다.
 3. 인간이 거주할 수 없거나 독자적인 경제활동을 유지 할 수 없는 암석은 배타적경제수역이나 대륙붕을 가지지 아니한다.

어디에도 '섬=사람+나무+물' 이라는 내용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예균 고문님의 주장은 근거 없는 사실 무근일뿐 아니라 몇 가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첫째, 이예균 고문님의 주장으로 많은 국민들이 독도문제를 잘못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이고
둘째, 이예균 고문님의 주장은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하락을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독도단체의 존재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 향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예균 고문님은 '사람+나무+물'이라는 근거 없는 조건을 부여하고, 이 조건을 만족해야만 섬이 된다고 했습니다.
121조-섬제도 그 어디에서도 정한바 없는 '사람+나무+물'이라는 정체불명의 조건을 들고,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독도는 섬이 아니고, EEZ와 배타적경제수역을 갖지 못한다'라는 취지의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이예균 고문님 말씀대로
-독도에 사람이 살지 않는다면 섬으로서 자격이 없게 되나요?
-독도에 나무가 없다면 섬으로서 자격이 없게 되나요?
-독도에 물이 없다면 섬으로서 자격이 없게 되나요?
-물골의 물이 없어지고, 나무가 모두 사라지고, 모든 사람이 독도에서 나오면 독도는 섬이 될 수 없고, EEZ나 대륙붕도 가질 수 없게 되나요?

한때 우리 정부는 울릉도를 EEZ기점으로 삼으면서, <독도는 EEZ기점이 될 수 없는 암석>이라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독도관련 단체와 국제법 전문가들은 독도는 EEZ기점으로서 충분한 권리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독도를 EEZ기점으로 삼아 경계획정을 위한 회담에 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독도를 EEZ기점으로 협상을 시작하면서 '사람+나무+물'을 근거로 삼았다는 말은 듣지 못했습니다.


121조에 대한 국제법적 해석 한 가지를 소개합니다.
국제법 교수이자 도서구획 전문가인 챠니(Jonathan I. Charney)교수는 미국국제법학보 제93권 제4호(1999년 10월)에서 섬이 아닌 암석에 대해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121조 3항은 고정불변한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경제 수요의 증가나 기술혁신으로 현재(또는 미래에)인간이 거주할 수 있거나 그 곳의 각종 경제적 자원을 활용하여 자체의 경제생활을 할 수 있으면 그 암석은 EEZ의 기선이 될 수 있다'

챠니 교수는 '인간이 거주할 수 없거나 경제적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암석도 조건에 따라 EEZ의 기점이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독도는 챠니 교수가 말하는 암석보다 상위개념이므로 독도 그 자체로 이미 섬인 것입니다.


더 상술하고 싶지만 복잡해질 것 같아 여기서 줄이고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1. 이예균 고문님이 말하는 '사람+나무+물'의 근거는 무엇인가요?
2. 근거도 없이 '사람+나무+물'을 주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3. 혹시 독도에 나무를 심어야 하는 당위성 확보 때문인가요?
4. 독도의 국제법적 지위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5. '섬=사람+나무+물'에 대한 입장을 다시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
하늘지기 풀씨 !
다음글 ▼ :
아줌마들의 무한도전
목록
수정 삭제
실명인증하기 공공I-PIN인증
※ 공공 I-PIN인증 또는 실명인증시에는 해당컨텐츠에 대한 글쓰기 및 조회만 가능합니다.
close
김점구  2010-12-15 16:05:36 
MB를 빼고 4대강을 얘기할 수 없고, 이규원 검찰사를 빼고 울릉도 재개척을 얘기할 수 없습니다. 어민숙소와 최종덕 옹도 마찬가지입니다. "섬=사람+나무+물"과 가장 관련이 깊은 사람은 누구일까?
김점구  2010-12-15 15:56:39 
'섬=사람+나무+물'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고, 반복될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독도문제를 잘못이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왜 섬의 조건으로 '나무'를 강조하는 것일까? 이 이해할만한 다른 이유가 있다면 이고문님이 밝혀주시면 됩니다.
김윤배  2010-12-15 10:15:45 
오히려 특정인물을 거론한 질문의 내용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도운동 발전을 위한 건강한 지적은 권장되어야 함은 분명 사실이지만, 정확한 근거와 논리 그리고 상대방에 대한 배려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인터넷 혹은 특정인물 거론이라면 더더욱.
김윤배  2010-12-15 10:05:50 
독도나무심기운동은 1973년 울릉도 애향회, 울릉산악회 시절부터 이어진 매우 의미있는 민간운동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적처럼 학계에서 외래종 유입 등 생태계 논란 지적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어떤 의도를 가지고 그러한 표현을 썼다는 것은 대단히 이해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김점구  2010-12-13 11:20:15 
"121조의 광범위한 해석" 여부가 관건 같은데, 얼마나 많은 국제법 전문가들이 동의할지는 의문입니다. 또한 생태계 교란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반복되는 현실을 볼때, 오히려 의도적이지 않은가라는 의문을 갖게 합니다.
김윤배  2010-12-11 17:55:43 
국내의 대표적인 민간단체 혹은 활동가들에 대한 판단은 그들이 갖고 있는 성과와 한계, 그리고 그들이 짊어졌던 시대적 배경을 함께 교차하며 판단되어야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김윤배  2010-12-11 17:49:50 
광범위하게 해석한 표현이라 생각되구요, 또하나는 울릉도 민간단체로서 울릉도 독도 연계(생물학적 연계)을 위한 노력에서 나오지 않았나 라는 생각이구요, 때로는 푸독 창립 이전에 당시 정부에서 실시하던 국토가꾸기사업의 동참활동이 이어진 것이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김윤배  2010-12-11 17:45:09 
“독도가 국제법적으로 섬이 되기 위해서는 사람, 나무, 물이 있어야 한다”는 표현은 국제법상에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지만, 국제법학자들도 대부분 동의하는 것처럼 자의적 해석의 여지가 충분이 가능한 유엔해양법협약 121조 3항에서 언급된 “인간의 독자적인 경제활동 유지”라는 규정을
김점구  2010-12-10 22:52:04 
혹시 이예균 전 회장님과 연락되시는 분은 이 내용을 전달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워낙 중요한 주제인지라 꼭 연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님 푸독에서 답변해주셔도 좋습니다.
김점구  2010-12-10 15:38:22 
푸른울릉독도가꾸기모임->(재)푸른울릉독도가꾸기회

 
   
 

 

 

   전화번호: 055-635-8846, 전송: 055-635-8845  

   Copyright(c) 2004  www.o-dokdo.com. All right reserved